반응형
자동차의 역사와 발전
초창기 자동차 (17세기-18세기)
- 자동차의 시초는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인형 자동차입니다.
- 이는 네덜란드 수학자 크리스티안 후얄라가 1672년에 만든 것으로, 수동으로 작동하는 인형 자동차였습니다.
- 이후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내연기관의 발명과 기술의 발전 등으로 자동차의 기반을 다지게 됩니다.
내연기관의 발명과 자동차 건설 (19세기 중반-후반)
- 내연기관은 19세기 중반 여러 발명가들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 1885년 칼 벤츠와 고틀리프 다임러는 가솔린 내연기관 파워드 자동차를 공동으로 개발했습니다.
- 1889년에는 벤츠가 자신의 딸을 태워서, 세계 최초의 자동차 여행을 하였습니다.
대량생산과 모형제작 (1900년대)
- 대량 생산과 모형제작 기법을 도입하여 이들은 생산성을 높이고 자동차의 가격을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 1908년, 헨리 포드는 포드 T를 출시하여 생산성과 대량생산기술적 처리 모두의 모범적인 예를 제시하였습니다.
골드 라이징 이후 (1920년대-1960년대)
- 1920년대에는 자동차 디자인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프린스턴 대학교의 미장이 J. Frank Duryea는 둥근 윤곽과 스트림라인 디자인의 열기적인 특징인 미국 차량 메이커에서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 1941년까지 기계 기술과 수동식 변속기 프레임 시장점유율이 저장되었고 이후에는 유럽 기술과 접목된 새로운 기울기 화물차나 픽업트럭이 등장하였습니다.
원유부족과 함께하는 시대 (1970년대)
- 1970년대 전쟁과 원유 부족으로 인하여 연료 경제성을 높이고 공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졌습니다.
- 1970년대 후반, 호주는처음으로 폴루션 컨트롤법을 개정하여 일모교량 및 범용 차량의 대기오염을 처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디지털기술 도입의 성과 (1980년대-1990년대)
- 80년대와 90년대의 경제는 전자식 장치 및 차량제작 기술에 대한 연구를 밀어 넣었습니다.
- 이후 ABS나 전자상패시티도 생겨나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차량이 개발되는 추세가 되었습니다.
미래의 차량 기술 (2000년대 - 현재)
- 현재는 전기차가 선전하는 시대입니다. 전기차는 엔진이 없으며 배터리로 구동되기 때문에 연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또, 센서와 라이다를 활용하여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하고 있어,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발전 방향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의 발전 방향은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첫째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의 발전입니다.
- 인공지능 기술은 차량 내부의 라이다, 카메라 등에서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분석하여 주행 상황을 파악하고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이에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지난 시행착오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점차 정확한 판단 및 충돌 회피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둘째는 자동차와 인프라 간의 통신 기술입니다.
- 자동차와 인프라간의 연결은 자율주행 자동차가 도로 환경에서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 인프라 정비와 연동, 지도 업데이트와 같은 인프라 기술의 발전은 더욱 스마트하고 안전한 도로환경을 만들어 냅니다
셋째는 안전 기술의 업그레이드입니다.
-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자의 예측력이나 감지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위험 분석이 중요해지며, 이를 위해 모든 운행 상황을 실시간 보고 해주는 스마트 센서등의 기술을 보완해야 합니다.
넷째는 고객 필요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 현재까지는 매우 고가로 취급되는 자율주행 자동차.
- 많은 고객들이 자율주행 자동차가 가진 장점을 받아들이고 구매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결함적인 부분이 보완되어야 합니다.
- 이를 위해 보급의 문제 해결을 통해 자율주행 경험이 고객에게 접근하기 쉬워지게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동차 산업의 미래
- 최근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으로, 이외에도 스마트기술, 로봇, 인공지능 등의 발전이 자동차 산업 발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전기차는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연료비 절감 및 공해 감소와 같은 많은 장점들을 지닙니다. 가격면에서는 아직 불리하지만, 기술의 진보와 정부의 혜택 등으로 점차 전기차의 점유율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 또한 자율주행 기술은 운전자의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운전자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줄여줄 것입니다.
- 또한 더 많은 시간을 다른 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스마트 기술도 자동차 편의성과 안전성 면에서 대단한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도 부품 제작과 감지 등 일부 업무에 자리 잡을 것입니다.
- 인프라 측면에서도 급속한 충전 인프라의 개선, 더 많은 차선으로 이뤄진 도로 등이 등장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모든 것들을 종합해 보면, 자동차 산업은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며 더욱 혁신적인 기술과 디자인을 전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일상생활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퀴의 유래와 발전 과정 (0) | 2023.07.12 |
---|---|
시멘트의 발견과 발정 과정 (0) | 2023.07.11 |
비닐에 대하여 (0) | 2023.07.09 |
비누의 역사와 종류 (0) | 2023.07.09 |
초콜릿에 대하여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