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 원인 감염 인자들을 어떻게 제거할 것인가?
앞으로 미래는 우리가 원인 매개체들을 발견하면 곧이어 감염에 의한 만성 질병들에 대처하는 백신들이 개발될 것입니다. 병원체가 유달리 돌연변이가 심하지 않다면, 백신은 특히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백신이 HIV 같은 RNA 바이러스보다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같은 DNA 바이러스에 잘 들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감염성 질병 대등의 새로운 경로: 진화 통제를 적대적 생명체 변형
이렇게 미래의 질병 정복은 근본적으로 새로운 기술 발전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 우리는 이미 맞는 백신들이 질병을 예방할 것이며, 맞는 항감염제가 질병을 치료할 수 있고 진행 단계부터 악화 단계까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미 감염 전파 고리를 끊음으로써 개인의 감염과 때로는 전체 집단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의학은 새로 알려진 감염 매개체를 대상으로 그런 해결책들을 개발함으로써 상당한 성과를 올린 바 있습니다.
진화적 성공 사례: 백신과 결핵성 병원체전파 통제를 통한 독성 진화 통제
감염성 질병들에서 진화적 인과 관계는 주로 독성의 진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기생체를 자비롭거나 치명적이거나 그 중간 상태로 진화하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이 질문의 답은 감염성 질병을 통제하는 세 번째 접근 방법의 미래를 제시합니다. 즉 감염을 치료하고 감염 전파를 통제하는 것 외에, 우리는 병원체의 진화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럼으로써 생명을 위협하는 적대자들을 자애로운 공존자로 변형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각각의 주요 질병들에서, 이론과 증거들은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개입 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백신의 진화와 통제
우리는 앞으로 25년 내에 백신을 더 현명하게 사용하거나 가난한 나라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수인성 병원체들의 전파를 막는 일을 통해, 이런 진화적 성공 사례가 처음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또 항생제 저항성을 통제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병원체가 더 자비로울수록, 항생제 사용이 줄어들 것이고 따라서 항생제 저항성의 진화도 느려질 것입니다. 우리가 독성의 진화를 통제할 수 있다면, 항생제 저항성의 진화도 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백신, 항생제, 보건 위생의 역사가 보여주고 있듯이, 첫 성공 사례가 나오면 다른 질병에도 앞다투어 같은 접근 방식이 사용될 것입니다. 그러나 최초의 성공이 이루어질 시기를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런 연쇄 반응이 일어날 시기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금세기 중반까지 우리는 심각한 설사성 질병들 같은 몇몇 질병을 독성에서 양성 쪽으로 진화적으로 바꿔놓겠지만, 다른 대부분의 질병들은 여전히 시험 과정에 있습니다.
HIV의 유전적 가변성
앞으로 수십 년 안에 일어나지 않을 것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결정적인 통제를 하려는 우리의 노력을 방해하는 어떤 작용 인자와 맞닥뜨리게 될 것입니다. 가령 HIV를 압박할 어떤 근본적으로 새로운 수단이 없다면, 그것은 여전히 단편적인 치료로 억누를 수는 있지만 해결하지는 못하는 문제가 될 것입니다. 즉 항바이러스제나 백신은 그 바이러스를 제약하기는 하지만 결정적으로 통제하지는 못합니다. 이런 음울한 전망을 낳는 것은 HIV의 유전적 가변성입니다. 그것은 항바이러스제 저항성을 쉽게 진화시키며, 백신의 구속복에서 쉽게 탈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난 몇 년간 그래왔듯이 항바이러스제를 복합 처방하면 더 나은 효과를 볼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치료가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최선의 바람은 시간을 버는 것입니다. 즉 항바이러스 제를 통해 AIDS가 없는 생활을 10년 정도, 감염 직후에 투여한 치료 백신을 통해 10년 정도, 독성의 진화를 통제함으로써 10년 정도 시간을 얻는 것입니다. 그 수십 년은 더해질 수 있지만 의학이 디프테리아, 천연두, 백일해, 홍역, 소아마비 같은 질병에 가한 것과 같은 결정적인 통제는 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항바이러스 약물을 오래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부작용을 생각하면 더 그럽 습니다.
새로 출현하는 끔찍한 질병들
새로 출현하는 끔찍한 질병들이 지구를 휩쓸 것이라는 우려가 현재 제기되고 있지만, 우리는 수십 년 내에 AIDS 전염병 같은 끔찍한 새로운 전염병이 전혀 없거나 하나만 있을 것이라고 정당하게 확신할 수 있습니다. 아마 전혀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한 세게 동안 이 지구의 사람들은 끊임없이 더 빠르게, 오지까지 다니면서 서로 뒤섞여왔습니다. 이런 뒤섞임을 통해 지금껏 우리는 세계 거의 모든 지역의 병원체에 노출되었을 것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뒤섞였어도, 우리가 알고 있는 한 지리적으로 겪리 되어 있던 지역으로부터 퍼져 나와 지구 전체에 끔찍한 전염병을 일으킨 새로운 병원체 HIV-1 단 하나뿐이었습니다.
감연과의 인과 관계
AIDS 전염병을 예로 들어 과학자들과 문외한들은 이구동성으로 다른 병원체들도 비슷한 위험을 끼칠지 모른다고 경고해 왔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후보자로는 에볼라와 마르부르크 같은 기이한 출현성 바이러스, 모기를 통해 전염되는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최근 미국 남서부에 '포코너스'병을 일으킨 한타 바이러스, 광우병과 그것의 인간 질병 형태인 새로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JD을 일으키는 프리온 등입니다.
하지만 이런 우려는 틀렸습니다. 이런 병원체들은 비록 걸린 사람들에게는 끔찍하지만, 지구적인 재앙을 일으킬 만큼 위협적이지 않습니다. 그것들은 그런 특징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는 인간에게서 모기로 전파될 수 없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명적인 인간 감염 주기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외부 환경을 충분히 견뎌내지 못한다. 프리온은 인육을 먹거나 각막 이식 같은 예외적이고 통제할 수 있는 행동을 통해서만 사람들 사이에 전파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위협은 이미 우리 사이에 널리 퍼져 있으면서 우리를 죽음에 이르게 하거나, 그렇게 할 능력을 더 진화시킬 수 있는 병원체들로부터 옵니다. 감염 인과 관계와 관련된 현재의 증거들을 볼 때, 우리는 이미 심장 발작, 뇌일혈, 알츠하이머병, 암 같은 끔찍한 지구 규모의 전염병들, 즉 치명적이지만 간과되고 있는 감염 인자들을 통해 발생하는 원인인 전염병들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떠돌이 고양이 몇 마리를 놓고 걱정하고 있는 사이에, 표범들은 슬그머니 우리 곁으로 다가서고 있습니다. 다음 반세기 동안 우리는 마침내 그 표범들을 알아차릴 것이고, 적어도 그중 일부가 다가오지 못하도록 할 수단을 취하게 될 것입니다.